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아두이노 예제: LED 깜빡이기

by swifttt 2025. 4. 27.

 


아두이노 입문자가 가장 처음으로 배우는 예제는 바로 LED 깜빡이기(Blink)입니다.

이 프로젝트를 통해 아두이노의 핀 제어delay 함수 사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LED를 깜빡이게 만드는 방법을 코드와 함께 차근차근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
본론

1. 준비물

  • Arduino Uno 보드
  • USB 케이블
  • (선택) 외부 LED, 220Ω 저항, 브레드보드, 점퍼선

※ 참고: Arduino 보드에는 기본적으로 13번 핀에 연결된 LED가 내장되어 있습니다.
따라서 별도의 부품 없이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!

2. 회로 구성 (선택)

(외부 LED 연결 시 회로도)

아두이노 13번 핀 → 저항(220Ω) → LED 긴 다리 → LED 짧은 다리 → GND 핀 연결

Arduino 13번 핀 --[220Ω 저항]-->(LED 긴 다리) (LED 짧은 다리)--> GND

※ 외부 LED 대신 내장 LED(13번 핀)를 이용하면 회로 구성 없이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.

3. 코드 작성하기

아두이노 IDE를 열고, 다음 코드를 입력합니다.

// LED 깜빡이기 예제

void setup() {
  pinMode(LED_BUILTIN, OUTPUT);  // LED 핀을 출력으로 설정
}

void loop() {
  digitalWrite(LED_BUILTIN, HIGH); // LED 켜기
  delay(1000);                     // 1초 대기
  digitalWrite(LED_BUILTIN, LOW);  // LED 끄기
  delay(1000);                     // 1초 대기
}

코드 설명

  • setup() 함수: 보드가 처음 켜질 때 한 번만 실행됩니다.
    여기서 LED_BUILTIN 핀을 출력 모드로 설정합니다.
  • loop() 함수: 무한 반복됩니다.
    LED를 켰다가, 1초 후 끄고, 다시 1초 후 켜는 동작을 계속 반복합니다.

delay(밀리초) 함수는 프로그램을 잠시 멈추는 함수입니다.
delay(1000)은 1000ms(1초) 동안 대기하는 뜻입니다.

4. 업로드 및 실행

  1. 아두이노 보드를 PC에 연결합니다.
  2. [Tools] > [Board] → "Arduino Uno" 선택
  3. [Tools] > [Port] → 연결된 포트 선택 (예: COM3)
  4. 코드 입력 후 상단의 업로드 버튼(→ 화살표) 클릭

✅ 업로드가 완료되면, 보드에 내장된 LED가 1초마다 깜빡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!

5. 다양한 응용 아이디어

  • LED 깜빡이는 속도 조절
    delay(100)으로 바꾸면 훨씬 빠르게 깜빡입니다.
  • 깜빡임 패턴 변경
    켜는 시간과 끄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다양한 패턴을 만들 수 있습니다.
void loop() {
  digitalWrite(LED_BUILTIN, HIGH); 
  delay(300); // 켜는 시간 0.3초
  digitalWrite(LED_BUILTIN, LOW);  
  delay(700); // 끄는 시간 0.7초
}
  • 외부 LED 사용하기
    내장 LED 대신 브레드보드에 연결한 외부 LED를 깜빡이게 하면 회로 구성 연습도 함께 할 수 있습니다.

결론

Blink 예제는 단순하지만, 아두이노의 기본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.
LED 하나를 제어하는 경험을 통해, 앞으로 여러 개의 LED, 모터, 센서 등을 다루는 프로젝트로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.

다음 글에서는 버튼 입력을 받아 LED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.
조금 더 인터랙티브한 프로젝트가 될 거예요!